뇌혈관 조영술이란 용어를 들어본 일반인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의료인 중에서도 신경외과, 신경과, 영상의학과를 제외한 파트에서는 정확히 어떤 검사인지, 어떻게 하는 검사인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그만큼 특수한 검사인 것은 분명하다. 예전에 비해 CT와 MRI, MRA가 보편화 되면서 뇌혈관 질병들의 발견 빈도는 점차 증가하며 뇌혈관 조영술의 필요성과 영역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선 뇌혈관 조영술에 간단히 설명하겠다. CT나 MR에서 발견된 뇌혈관 이상을 확인하고, 정확한 분석이 필요할 때 권고된다. 특히 치료가 필요한 병변인지, 치료가 필요하다면 어떠한 치료가 가장 적합할지를 판단할 때 중요한 나침반이 되는 검사다. 검사를 통해 뇌혈관의 위치 및 크기, 모양과 구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뇌혈관 조영술은 침습적인 검사이며, 때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에 뇌혈관 이상이 의심된다고 무조건 시행이 권고되는 것은 아니다. 출혈, 조영제 알러지, 혈관손상, 혈관 색전·혈전 등이 대표적이며, 그러므로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
다음으로 대략적인 과정에 관해 설명하겠다. 전후 처치가 필요한 검사로 입원해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대퇴동맥을 천자해 시행하는 검사로, 검사 후 지혈을 위해 최소 4~6시간, 약 하루 정도는 침상안정을 요한다. 노동맥을 천자해 시행하기도 하지만 주로 대퇴동맥을 사용한다. 검사는 혈관조영실에서 시행되며, 일반적으로 금식이 필요하진 않다. 혈관조영기기 침대에 누워, 미리 면도·제모된 서혜부(사타구니)를 소독 후 감염방지를 위해 검사 부위만 노출한 후 소독포를 덮는다.
혈관 천자부위에 국소마취 후, 초음파를 통해 대퇴동맥에 카테터를 거치해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검사는 대략 20~30분 정도 소요되며, 지혈 시간 5분 정도가 필요하다. 조영제가 들어갈 때 열감이 느껴지나, 간혹 통증이 있는 때도 있으나 대부분 수초 내 사라지는 증상이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검사와 다르게 검사자의 숙련도와 병원의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시스템이 필요한 검사로, CT나 MR서 뇌혈관 질환이 의심돼 뇌혈관 조영술이 필요한 경우 가까운 뇌혈관 전문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하길 바란다.
뇌혈관 조영술이란 용어를 들어본 일반인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의료인 중에서도 신경외과, 신경과, 영상의학과를 제외한 파트에서는 정확히 어떤 검사인지, 어떻게 하는 검사인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그만큼 특수한 검사인 것은 분명하다. 예전에 비해 CT와 MRI, MRA가 보편화 되면서 뇌혈관 질병들의 발견 빈도는 점차 증가하며 뇌혈관 조영술의 필요성과 영역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선 뇌혈관 조영술에 간단히 설명하겠다. CT나 MR에서 발견된 뇌혈관 이상을 확인하고, 정확한 분석이 필요할 때 권고된다. 특히 치료가 필요한 병변인지, 치료가 필요하다면 어떠한 치료가 가장 적합할지를 판단할 때 중요한 나침반이 되는 검사다. 검사를 통해 뇌혈관의 위치 및 크기, 모양과 구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뇌혈관 조영술은 침습적인 검사이며, 때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에 뇌혈관 이상이 의심된다고 무조건 시행이 권고되는 것은 아니다. 출혈, 조영제 알러지, 혈관손상, 혈관 색전·혈전 등이 대표적이며, 그러므로 전문의의 판단에 따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
다음으로 대략적인 과정에 관해 설명하겠다. 전후 처치가 필요한 검사로 입원해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대퇴동맥을 천자해 시행하는 검사로, 검사 후 지혈을 위해 최소 4~6시간, 약 하루 정도는 침상안정을 요한다. 노동맥을 천자해 시행하기도 하지만 주로 대퇴동맥을 사용한다. 검사는 혈관조영실에서 시행되며, 일반적으로 금식이 필요하진 않다. 혈관조영기기 침대에 누워, 미리 면도·제모된 서혜부(사타구니)를 소독 후 감염방지를 위해 검사 부위만 노출한 후 소독포를 덮는다.
혈관 천자부위에 국소마취 후, 초음파를 통해 대퇴동맥에 카테터를 거치해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검사는 대략 20~30분 정도 소요되며, 지혈 시간 5분 정도가 필요하다. 조영제가 들어갈 때 열감이 느껴지나, 간혹 통증이 있는 때도 있으나 대부분 수초 내 사라지는 증상이므로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검사와 다르게 검사자의 숙련도와 병원의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시스템이 필요한 검사로, CT나 MR서 뇌혈관 질환이 의심돼 뇌혈관 조영술이 필요한 경우 가까운 뇌혈관 전문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하길 바란다.
출처 : 경북일보(https://www.kyongbu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