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의 척추관 협착증과 전방전위증은 요추의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노인인구에서 상당 부분 발병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높이 감소와 함께 척추관절의 퇴행과 황색인대의 비후로 인해 신경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며, 전방전위증은 퇴행성, 선천성 등의 원인으로 위쪽 척추체가 앞쪽으로 미끄러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위 질환들을 지닌 환자들은 주로 요통이나 하지 방사통(엉덩이부터 다리 쪽으로 당기는 통증), 감각 이상(저림, 무딘감)/운동 마비(힘 빠짐), 배변/배뇨 장애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약물치료나 주사치료를 비롯한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된다.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대표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추간공 협착증, 불안정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요추부의 일부 변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 적응증이 될 수 있다.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요추체 사이의 추간판을 제거하고 그 빈 공간에 인공 구조물을 넣어 신경 압박을 해소해 줌과 동시에 요추의 정렬을 교정해 주고, 나사못을 고정해 줌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환자의 허리(후방)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배 혹은 옆구리를 통해 후복막강으로 접근하는 ‘최소 침습적인’ 수술 방법이다.
복막과 함께 복막 내부 장기는 앞으로 밀어낸 뒤 수술기구로 복막 내 장기들을 보호하며 수술하므로 주요 장기 손상의 가능성은 낮다.
기존의 후방 접근법은 허리 근육을 박리하고 뼈를 일부 제거하기 때문에 출혈이 많지만, 사측방 접근법은 얇은 복벽 근육을 4cm가량 절개해 후복막강으로 접근하므로 출혈이 거의 없다.
또한 후방 접근법은 신경을 피해 인공 구조물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인공 구조물의 모양이나 크기 선택에 일부 제한적이지만, 사측방 접근법은 인공 구조물 삽입에 장애물이 되는 조직이 없어 원하는 크기와 모양의 인공 구조물 삽입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후방 구조물 (허리 근육과 뼈)을 보존할 수 있어 수술 후 통증이 적어 빠른 회복이 가능하고, 요추 전만각을 교정해 줄 수 있어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여 장기적인 예후의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수술 원리는 ‘간접 감압’에 있다. 낮아지고 어긋난 척추체 사이의 추간판을 제거한 뒤 커다란 인공 구조물을 삽입하는 것이 핵심이다.
척추체 사이의 높이와 배열이 교정됨과 동시에 신경을 압박하는 황색인대가 펴지게 되는데, 직접적으로 후방 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을 제거하지 않아도 척추관이 확장되는 효과가 바로 간접 감압의 원리이다.
그리고 수술 후 시간이 지날수록 황색 인대의 위축이 이루어져 수술 부위가 안정화되고 척추관이 점차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물론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도 후방 나사못 고정이 필요하다. 간접 감압이 충분히 이루어진 경우라면, 경피적 나사못 삽입술만 필요하므로 1~2cm가량의 작은 절개만으로 나사못을 삽입할 수 있어 근육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모든 환자에 적용할 수는 없으며, 간접 감압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가 적합한 수술 대상이 되겠다.
추간판 높이가 낮으면서 추간공 협착이 동반된 척추관 협착증, 전방전위증을 비롯한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그리고 요추 후만이 있어 앞으로 굽은 경우가 그러하다.
하지만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배 혹은 옆구리로 절개를 해 접근하기 때문에 이전 복부 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거나, 복부의 주요 중심 혈관이 척추체를 가리고 있는 경우에는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
추간판의 높이가 높거나 황색 인대 골화증이 동반되어 있거나, 후관절의 퇴행이 심하면 간접 감압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박상진 에스포항병원 신경외과 진료과장
요추의 척추관 협착증과 전방전위증은 요추의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노인인구에서 상당 부분 발병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높이 감소와 함께 척추관절의 퇴행과 황색인대의 비후로 인해 신경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며, 전방전위증은 퇴행성, 선천성 등의 원인으로 위쪽 척추체가 앞쪽으로 미끄러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위 질환들을 지닌 환자들은 주로 요통이나 하지 방사통(엉덩이부터 다리 쪽으로 당기는 통증), 감각 이상(저림, 무딘감)/운동 마비(힘 빠짐), 배변/배뇨 장애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약물치료나 주사치료를 비롯한 보존적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된다.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대표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추간공 협착증, 불안정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요추부의 일부 변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 적응증이 될 수 있다.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요추체 사이의 추간판을 제거하고 그 빈 공간에 인공 구조물을 넣어 신경 압박을 해소해 줌과 동시에 요추의 정렬을 교정해 주고, 나사못을 고정해 줌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환자의 허리(후방)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배 혹은 옆구리를 통해 후복막강으로 접근하는 ‘최소 침습적인’ 수술 방법이다.
복막과 함께 복막 내부 장기는 앞으로 밀어낸 뒤 수술기구로 복막 내 장기들을 보호하며 수술하므로 주요 장기 손상의 가능성은 낮다.
기존의 후방 접근법은 허리 근육을 박리하고 뼈를 일부 제거하기 때문에 출혈이 많지만, 사측방 접근법은 얇은 복벽 근육을 4cm가량 절개해 후복막강으로 접근하므로 출혈이 거의 없다.
또한 후방 접근법은 신경을 피해 인공 구조물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인공 구조물의 모양이나 크기 선택에 일부 제한적이지만, 사측방 접근법은 인공 구조물 삽입에 장애물이 되는 조직이 없어 원하는 크기와 모양의 인공 구조물 삽입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후방 구조물 (허리 근육과 뼈)을 보존할 수 있어 수술 후 통증이 적어 빠른 회복이 가능하고, 요추 전만각을 교정해 줄 수 있어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여 장기적인 예후의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수술 원리는 ‘간접 감압’에 있다. 낮아지고 어긋난 척추체 사이의 추간판을 제거한 뒤 커다란 인공 구조물을 삽입하는 것이 핵심이다.
척추체 사이의 높이와 배열이 교정됨과 동시에 신경을 압박하는 황색인대가 펴지게 되는데, 직접적으로 후방 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을 제거하지 않아도 척추관이 확장되는 효과가 바로 간접 감압의 원리이다.
그리고 수술 후 시간이 지날수록 황색 인대의 위축이 이루어져 수술 부위가 안정화되고 척추관이 점차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물론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도 후방 나사못 고정이 필요하다. 간접 감압이 충분히 이루어진 경우라면, 경피적 나사못 삽입술만 필요하므로 1~2cm가량의 작은 절개만으로 나사못을 삽입할 수 있어 근육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모든 환자에 적용할 수는 없으며, 간접 감압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가 적합한 수술 대상이 되겠다.
추간판 높이가 낮으면서 추간공 협착이 동반된 척추관 협착증, 전방전위증을 비롯한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그리고 요추 후만이 있어 앞으로 굽은 경우가 그러하다.
하지만 사측방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배 혹은 옆구리로 절개를 해 접근하기 때문에 이전 복부 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거나, 복부의 주요 중심 혈관이 척추체를 가리고 있는 경우에는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
추간판의 높이가 높거나 황색 인대 골화증이 동반되어 있거나, 후관절의 퇴행이 심하면 간접 감압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척추 전문의와 충분한 상의 후에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출처 :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2804)